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성수기 vs 비수기 제주도 한달살기 여행 예산 분석

by 뷰티풀트립 2025. 3. 29.
반응형

제 여행 버킷리스트 중 하나이기도 한 제주도 한달살기 여행을 계획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예산인 것 같습니다. 특히 성수기와 비수기에는 숙소비, 교통비, 식비 등에서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수기와 비수기 각각의 한달살기 비용을 비교하고, 예산을 절약하는 팁을 소개해보겠습니다!

 

성산일출봉이 보는 곳에 앉아있는 여자의 뒷모습 사진

1. 성수기 제주도 한달살기 비용 분석

제주도의 성수기는 주로 여름 휴가철(7~8월)과 봄·가을 관광 성수기(4~5월, 10월)입니다. 이 시기에는 관광객이 몰리면서 숙박비와 렌터카 비용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숙박비

성수기에는 호텔과 펜션뿐만 아니라 게스트하우스, 에어비앤비 숙소까지 가격이 급등합니다. 당연하죠.ㅠ

  • 호텔: 1박 평균 15만~30만 원 → 한 달 450만~900만 원
  • 펜션·리조트: 1박 평균 10만~20만 원 → 한 달 300만~600만 원
  • 에어비앤비·민박: 1박 평균 7만~15만 원 → 한 달 210만~450만 원
  • 게스트하우스(1인실 기준): 1박 평균 4만~8만 원 → 한 달 120만~240만 원

교통비

  • 렌터카(경차 기준): 한 달 100만~150만 원
  • 대중교통(버스, 택시): 한 달 10만~20만 원

식비 및 기타 생활비

  • 외식 위주 생활: 한 달 80만~120만 원
  • 마트에서 직접 장보기: 한 달 40만~60만 원

총 예상 비용(1인 기준)

최소 250만 원 ~ 최대 1,200만 원

어마무시하죠? 성수기 제주도 한달살기 여행시에는 어느정도 비싼 걸 예상하고 가셔야할 것 같습니다.

 

고등어정식 사진

2. 비수기 제주도 한달살기 비용 분석

비수기는 겨울철(11~3월)이며, 이 시기에는 숙소비와 렌터카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숙박비

  • 호텔: 1박 평균 7만~15만 원 → 한 달 210만~450만 원
  • 펜션·리조트: 1박 평균 5만~10만 원 → 한 달 150만~300만 원
  • 에어비앤비·민박: 1박 평균 3만~8만 원 → 한 달 90만~240만 원
  • 게스트하우스(1인실 기준): 1박 평균 2만~5만 원 → 한 달 60만~150만 원

교통비

  • 렌터카(경차 기준): 한 달 50만~100만 원
  • 대중교통(버스, 택시): 한 달 8만~15만 원

식비 및 기타 생활비

  • 외식 위주 생활: 한 달 60만~90만 원
  • 마트에서 직접 장보기: 한 달 30만~50만 원

총 예상 비용(1인 기준)

최소 150만 원 ~ 최대 600만 원

성수기 여행때보다 확 낮아졌지만 그래도 한달살기 여행이다보니 금액이 꽤 되는 편입니다.

 

3. 성수기 vs 비수기 비용 비교 및 절약 팁

항목 성수기 (7~8월, 4~5월, 10월) 비수기 (11~3월) 절약 팁
숙박비 120만~900만 원 60만~450만 원 비수기 장기 숙박 할인 이용
교통비 10만~150만 원 8만~100만 원 대중교통 활용, 사전 예약
식비 40만~120만 원 30만~90만 원 마트에서 직접 장보기
총 비용 250만~1,200만 원 150만~600만 원 -

비용 절약 팁

  • 숙소 미리 예약하기: 성수기라도 조기 예약하면 저렴한 가격에 숙박 가능
  • 렌터카 사전 예약: 성수기에는 최소 2~3개월 전 예약 필수
  • 대중교통 활용: 렌터카보다 시내버스와 택시를 활용하면 비용 절감
  • 비수기 이용: 숙소·렌터카·식비 등 전반적인 비용 절감 가능

결론

제주도 한달살기 비용은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최대 2~3배 차이가 납니다. 예산을 아끼고 싶다면 비수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성수기에 가야 한다면 조기 예약과 할인 혜택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제주 한달살기를 계획 중이라면 자신의 예산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최적의 시즌을 선택하세요!

반응형